말하는 컴공감자의 텃밭

git 화살표 폴더 본문

Tool/git

git 화살표 폴더

현콩 2023. 10. 31. 12:00
728x90

넌 누구냐

 

최근에 뇌가 좀 이상했는지 깃에 저런 모양의 파일이 생겼다. 클릭도 안돼~ 저건 머야머야 하고있다가

아 저거 폴더 하위에 깃인가 하고 찾아보던 차

 

히호 찾았다

.git 하위 폴더에도 .git이 있기 때문이었다.

알고보니까 내가 workspace 폴더 자체를 푸시한게 문제였다

세상에 인텔리제이를 오랜만에 맛보다가 그만 ㅎㅎ

 

해결 방법 2가지 정도를 찾아보고 적용해봤다..

 

1. 해당 폴더의 .git을 지우고, 스테이지 파일 제거 후 다시 push하는 방법.

해당 폴더에서 
- rm -rf .git으로 깃을 지워준다.
git rm -rf 명령은 Git에서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강제로 삭제하는 명령이다.

다음 git rm --cached . -rf 로 스테이지에 존재하는 파일을 지워준다.
이 명령은 현재 디렉토리에서 모든 파일과 하위 디렉토리를 Git의 스테이징 영역에서 제거하여 추적에서 제외하고 로컬 파일 시스템에서는 그대로 남겨두기 위함이다.

다음 다시 로컬 파일을 git .add 한 후 git commit -m "remove: duplicate git", git push origin으로 마무리~

 

위 방법으로 해결이 가능하다.

단 나같은 경우는 폴더 자체를 잘못 푸쉬해놨기 때문에 하위 폴더로 레포를 옮기고 싶었다.

A > B 상태의 폴더라면

A가 푸쉬되어 있었고, A안에 여러 레포들에 .git이 있어 화살표 폴더가 생성된 것이었다.

따라서 A에 있던 .git 파일을 B에 옮겨주고,

git add. 로 모든 로컬 파일을 다시 올리고, git commit -m "change: 폴더 변경"git push origin 넣어서 마무리 해줬다.

만약 .git 파일이 안보인다면

파일 탐색 상단에 [보기] 탭을 눌러서 우측에 숨김항목에 체크를 눌러주자.

728x90
Comments